<제목>
안산시 원곡동 환경조성관련 연구: - 갈등이론을 중심으로 -
<영문제목>
Research on Environmental Development in Wongok-dong, Ansan City: -A Focus on Conflict Theory-
<초록>
갈등은 대한민국 사회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서로 다른 입장과 이해 관계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복잡한 사회적 현상을 의미한다. 안산시 원곡동의 사례는 197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공장 설립과 외국인 노동자의 대규모 유입으로 인해 심각한 환경문제가 발생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지역에서는 선주민, 이주민, 상인회,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었는데, 특히 상인회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상권 보호를, 주민들은 쾌적한 주거환경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며 대립했다. 이러한 원곡동의 사례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중요한 사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환경정책 수립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 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명확하 게 보여준다. 둘째, 지속가능한 환경관리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려준다.
현재 원곡동에는 약 2만여 명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특히 쓰레기 무단투기 문제가 지역사회의 핵심적인 갈등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 부족과 분리수거에 따른 경제적 비용 부담으로 인해 쓰레기 분리수거 문제가 지속적으로 악화되었고, 이는 결국 2013년 지역 주민들 간의 심각한 폭력 사태로까지 확대되었다. 이러한 복잡한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간 이해를 증진시키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실시,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비용 지원, 그리고 포괄적인 복지 서비스 확대가 시급히 필요하다. 이는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정의 실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는 보다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갈등해결의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갈등, 외국인, 노동자, 원곡동, 합의